반응형
국민연금은 직장을 다닐경우 월 9%의 금액을 납부하게 됩니다. 4.5%는 회사에서 납입해 주고, 나머지 4.5%만 본인이 납입하죠.
만약에 직장에 다니지 않는 사람은 국민연금을 지역가입자로 가입하게 되는데요. 이런경우 혼자서 9%의 금액을 전부 납부해야 합니다.
국민연금도 본인이 많이 낼수록 많이 받게 되는 구조며, 평균 월 300만원이 월급일때 보험료는 27만원정도를 납입하게 됩니다.
그렇다면 국민연금 수령액을 알 수 있을까요?
국민연금공단에서 본인의 수령액을 검색 할 수 있습니다.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바로가기
국민연금공단에서 본인의 수령액을 검색 할 수 있습니다.
"내연금 알아보기"를 통해서 기본정보, 소득정보 등을 입력하면 국민연금 수령액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.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바로가기
<더보기>
반응형
'일상정보 >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연금 일시불 수령액 청구방법/구비서류 (0) | 2022.03.12 |
---|---|
2022년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방법(인터넷 신청) (0) | 2022.03.12 |
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액 계산 및 신청방법(신청서식) (0) | 2022.01.14 |
어린이 놀이터 정기점검 신청하는 방법(신청서식) (0) | 2022.01.14 |
산림 복지 바우처 간단 정리 (0) | 2022.01.04 |